
미국 재무부는 북한이 경제 제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암호화폐를 겨냥한 사이버 범죄에 적극 나서는 중이라 분석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4일 보도했다.
시걸 맨델커 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담당 차관은 1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암호화폐·블록체인 기술 관련 콘퍼런스에서 “정권과 나쁜 행위자들이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차단되면 대안책을 찾아 나섰듯, 최근 들어 일부 나라들과 불량 행위자들이 경제 제재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암호화폐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美 법무부가 기소하고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이 제재한 북한 해커 박진혁을 주요 사례로 제시했다.
맨델커 차관은 “박진혁은 북한이 후원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의 일원으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해 탈취한 불법 자금을 이체하고 돈 세탁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암호화폐 교환소에서의 이러한 술수와 대규모 절도는 나쁜 행위자들이 큰 수익을 창출하는데 사용됐다”면서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반은 지난 2년 동안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된 사이버 해킹과 연관된 자금이 15억 달러(1조 7835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해커 조직이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해외는 물론 자국 내 외국 대사관을 대상으로도 사이버 공격에 나서고 있다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보도도 추가되었다.
국제 사이버보안업체인 캐스퍼스키 랩(Kaspersky Lab)은 이날 보고서를 내고 “북한 당국이 육성하고 지원하는 해커 집단 스카크러프트(ScarCruft)가 더 정교해진 기술로 공격 대상을 넓혀 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카크러프트는 블루투스를 탑재한 기기에서 정보를 빼내는 방식을 이용해 러시아의 투자업체, 홍콩의 외교기관, 베트남의 투자무역 회사 등 공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한국의 민간 보안업체인 이스트시큐리티의 문종현 이사는 RFA에 “스카크러프트는 최근까지 한국과 미국을 상대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주로 외교 안보 및 대북관련 단체나 탈북민을 집중 겨냥하고 있다”고 말했다.
ⓒ 더노디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