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암호화폐와 관련한 국제적 연대를 위한 논의를 주도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가 올해 주요 20개국(G20) 의장을 맡으면서 국제적 논의를 주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는 점에도 영향이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8일 “암호화폐 대책과 관련해 일본이 국제적인 연계를 주도한다”며, “올해 일본이 G20 의장국으로 이용자보호나 악질적인 암호화폐 업체의 배제를 주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G20 국가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금융안정위원회(FSB)는 각국의 암호화폐 정책을 담당하는 기구의 리스트부터 작성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금융당국 관계자는 “각국의 암호화폐를 둘러싼 규칙은 규제와 금지, 감시, 방치 등 4개의 종류만 있다”며 “국경을 초월한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일국 차원의 규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FSB가 G20 국가를 중심으로 각국의 암호화폐 관련 감독 당국을 분명히 하면 이를 통해 해외에 본사를 둔 업체의 미등록영업 등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 더노디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