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가 올해 연말까지 제주도를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로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한다. 서울, 부산, 강원, 경기도 등 지자체들이 블록체인 선도 지자체를 표방하고 있는 가운데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제주도는 총 1억 7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21일 밝혔다. 내년 초부터 제주도에 적합한 블록체인 사업을 찾는 것이 목표다. 행정은 물론 섬의 특성을 반영한 관광, 의료 등 다양한 도내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접목할 예정이다.
24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제주도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글로벌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방안 연구’를 진행한다고 공고했다.
연구 제안요청서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2021년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허브를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진행된다.
제주도청 미래전략과 관계자는 “중기부의 규제특구 우선 협상자 선정 탈락과 별개로 서울시처럼 현행법 테두리 내에서 도내 다양한 서비스를 블록체인화 하는 것을 연구할 계획”이라며 “연구가 마무리되면 내년부터 관련 서비스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제주은행 등을 활용한 암호화폐 거래업 등은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제주도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현재 암호화폐 투자모집(ICO)을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업은 현행법상 기준이 애매해 규제특구에서만 운영할 수 있다.
해당 관계자는 “제주도가 특별자치도로서 개별 행정을 맡아도 제주은행을 통해 거래 사이트 계좌를 여는 것은 금융위 등 규제당국의 업무”라고 말했다.
ⓒ 더노디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