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새롭게 탄생한 국내 기술창업 기업은 총 5만9천여 개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시가 ‘테스트베드 서울’을 선언했다. 서울시정의 모든 현장을 블록체인, 핀테크, AI 같은 혁신기술로 탄생한 시제품‧서비스의 성능과 효과를 시험하고 사업성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 개방한다. 지하철, 도로, 한강교량, 시립병원, 지하상가 등의 공공인프라부터 행정시스템까지 시정 곳곳에 적용한다.
적용 대상은 서울 소재 중소‧벤처기업의 상용화 직전 제품 또는 서비스이다. 서울시 본청과 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등 투자출연기관, 사업소의 각종 시설물과 현장에서 최대 1년 간 적용하고 테스트 할 수 있고, 실증사업비로 최대 5억 원까지 지원한다.
실증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에는 ‘성능확인서’도 발급해 향후 각 기업에서 국내‧외 판로 확대를 위한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내년부터 전 기관‧부서별로 ‘혁신제품 구매목표제’를 도입하고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적용하는 등 서울시가 구매처가 되어 적극적으로 공공구매에도 나선다.
이와 관련해 ‘신기술 접수소(www.seoul-tech.com)’가 서울기술연구원 내에 6월부터 문을 연다. 「테스트베드 서울」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이 1년 365일, 24시간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제품‧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희망하는 실증 장소‧영역을 적어 접수하면 적합성‧기술성‧사업성 등을 평가해 8주 내로 실증가능 여부를 통보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최근 기술창업이 붐을 이루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혁신기술을 개발하고도 초기시장 형성과 판로개척이 어려워 사업화가 진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사업화에 성공하더라도 실제 판매‧납품 실적 없이는 기존 시장의 진입장벽을 뚫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원 배경을 설명했다.
서울시는 올해를 「테스트베드 서울」 구축의 원년으로 삼고 2023년까지 총 1,500억 원을 집중 투입해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 성장을 이와 같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올해는 100억 원을 투입해 약 50개 기업을 지원한다.
한편, 시는 채택된 제품과 서비스의 실증과정 전반을 조율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서울산업진흥원에 전담기구인『테스트베드 사업단』을 조직해 7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부서간 협업 조율을 총괄하고, 시정에 혁신적인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운영상 개선점을 도출,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혁신기업이 가장 절실하게 생각하는 것이 안전성, 적용가능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 실증과 매출 신장인 만큼 서울의 모든 공공 인프라를 혁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개방하고, 시가 가진 방대한 정보, 구매역량을 적극 활용해 혁신기업들의 성장을 위한 즉각적이고 실효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며, “서울시의 ‘테스트베드 서울’ 선언이 타 지자체, 중앙정부로 확산돼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혁신기술을 개발하고도 초기 시장형성과 판로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기술창업기업들에 성장동력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더노디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