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가상통화(암호화폐·가상화폐)를 규제하려면 국가를 넘어선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금융시장에서 비은행 부문의 리스크가 커지는 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FSB는 주요 20개국(G20) 합의에 따라 금융 분야 규제·감독 관련 국제기준을 마련하고 금융당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활동을 하는 국제기구다. 24개국 금융당국과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등 10개 국제기구의 최고책임자가 참석한 이번 회의의 의제는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성 평가’, ‘금융규제개혁이 중소기업 자금조달에 미친 영향’, ‘가상통화 관련 국제기구별 논의 현황과 규제공백’ 등이다.
최 위원장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성과 관련해 “비은행 부문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커지고 있으나 은행 부문에 비해 복원력이 취약한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말하며, “한국은 비은행 부문의 잠재적 시스템리스크 요인을 행위·기관별로 선별, 분석해 대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그는 “가상통화 문제는 규제 공백이 없는 정치한 규제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초국가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마련한 가상통화 관련 자금세탁방지 국제기준에 맞춰 각 국가가 관련 규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앞서 25일에는 미국 뉴욕에 진출한 한국 금융사들과 면담했다. 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국내 시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적극 진출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더노디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제보 및 보도 자료 : press@kr.thenodist.com